Loading...

산업 육성 전략: 선진국 R&D 데이터로 과학적 지원

육성 산업과 기술을 발굴하는 과학적 방법!

  • #공공 # 진흥원 # 협회 # 지자체
  • # 데이터 기반 산업 및 기술 육성정책 발굴
WiseIN Company 2024-05-01
글로벌 R&D 데이터 중 산업/기술별 데이터로 육성 정책을 도출

공공기관 중 지원기관(진흥원), 지자체 및 출연기관, 산업협회 등에서는 '우리 산업의 어떤 분야를 중점적으로 육성해야 할까?'라는 큰 아젠다가 항상 존재합니다. 이러한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해 각종 자료와 트렌드를 읽고 분석합니다. 정확한 방향은 "선진국 정부는 해당 산업과 기술에 어떤 투자를 하고 있는가"를 아는 것입니다. 글로벌 R&D 투자 빅데이터 중 특정 산업과 기술 데이터만 추출하여 분석한다면 빠르고 정확하게 정답에 다다를 수 있습니다.

특허와 논문, 각종 연구기관의 연구물을 분석대상으로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은 다소 위험합니다. 왜냐면 이러한 연구물은 '아직 실현되지 않은', 또는 '실현 확률이 낮은' 기술에 대한 탐색적 연구이기때문입니다. 글로벌 R&D 투자 빅데이터는 국가적 차원에서 '실현을 지원하는 기술'입니다. 이러한 현실 가능성이 높은 데이터를 분석해야 올바른 지원방향이 도출될 수 있습니다.

바이오 메디컬 산업육성을 위한 하위 분야 도출
Image placeholder
그림1: 글로벌 R&D 투자 데이터 중 '바이오 메디컬' 분야의 지형도와 8대 하위 산업의 발굴

글로벌 R&D 투자 데이터 중 '바이오 메디컬' 관련 키워드로 검색하여 추출한 데이터셋을 구성합니다. 문장 중 '기술'과 관련된 키워드만 도출합니다. 그런 후 시각화 및 분석도구를 활용하여 위와 같이 바이오메디컬 관련 하위 핵심 분야와 기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. 키워드의 공통성 혹은 통계적 유사성을 기준으로 Clustering 방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. 또한 이를 시기별로 구분한다면 기술과 산업의 흐름과 발전 방향을 파악할 수 있고, 새롭게 등장하는 기술 키워드의 추세를 파악한다면 선제적 대응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.

바이오메디털 8대 산업(분야)의 핵심 세부기술 간 네트워크
Image placeholder
그림2: 바이오메디털 8대 산업(분야)의 핵심 세부기술 간 네트워크 분석

기술적 요소만을 더욱 상세히 파악하기 위해 바이오메디털 8대 산업(분야)의 핵심 세부기술 간 네트워크를 그려볼 수 있습니다. 그러면 더욱 명확하게 중심성이 높은 기술 키워드와 그와 연결매개성이 높은 기술을 발견하게 되어 기술 간의 연계 및 공동지원의 방향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.

바이오 메디컬 미래 산업의 재확인
Image placeholder
그림3: 바이오 메디컬 미래 산업의 재확인 결과

이러한 큰 그림을 도출한 후, 세부적으로 기술 간의 융합 R&D 투자와 이를 통한 산업을 재확인한 결과, 역시 위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8대 분야가 바이오메디컬 분야의 핵심 미래 산업과 기술로 부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이제 지자체와 기업 지원기관에서도 현실화 가능성이 높은 산업과 기술을 발굴하여 육성해야 합니다. 그 방법이 분석이 될 수도 있지만 초거대 LLM 등의 서비스를 기업에게 제공하는 것이 매우 좋은 방법입니다. 다만 그 핵심에는 '실현 가능성이 높은 선진국의 R&D 투자 데이터'가 있어야 합니다. 언제든 도움이 필요하면 연락 주세요.

전문 연구원의 도움이 필요하신가요?

필요한 데이터에 대한 구체적 답변이 필요하시다면 아래로 문의해주세요

Image placeholder
02-558-5144

궁금한 사항은 언제든 연락주세요.

Image placeholder
research@wiseinc.co.kr

3시간 이내 답변 (오전9시~오후6시).